본문 바로가기


공동육아 ing

home   >   소통&참여   >   공동육아 ing

‘공동육아가 제안하는 사회적 이슈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3-12 14:20 조회245회 댓글0건

본문

 

공동육아가 제안하는 사회적 이슈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20252월 말, ‘공동육아가 제안하는 사회적 이슈보고서’(이하 이슈보고서) 2권이 발간되었다

첫 번째 이슈보고서는 <인류세 시대, 공생을 위한 공동육아 생태전환운동 엮어가기>이고

두 번째 이슈보고서는 <모두가 말하고, 모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함께 책임지는(모모함) 회의문화 만들기>이다.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은 공동육아운동 30년을 지나는 시점에서 공동육아가 잘 해오던 일들에 대해 깊게 들여다 보고

지금 시점에서 풀어야 할 새로운 전환을 제안하기 위해 공동육아가 제안하는 사회적 이슈보고서를 기획했다. 그 첫 보고서이다.

 

해송-공동육아운동이 추구하는 생태적 삶의 문화와 공동체적인 관계 만들기는 40여년의 많은 실험과 논의를 거쳐 자리를 잡아 온 것들이다지금도 끊임없이 질문과 답을 찾고 있다. 공동육아도 진화하며 그에 걸맞는 질문도 일어나고 있다.

두 보고서는 다음의 질문에 기대고 있다.

 

1. 기후위기 시대 공동육아 생태교육은 무엇을 담아야 하나? 기후위기를 넘는 주체는 당사자들이다

그럼 기후위기를 넘고 아이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당사자들은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며

그동안 해오던 생태적 삶의 방식, 나들이, 텃밭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며, 무엇을 공동행동할지 제안합니다.

 

2. 공동체적인 조직문화를 안정적으로 꾸려가기 위해서, 문화적으로 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나?

공동체적 조직문화를 이끌어가는 핵심은 참여적 회의문화이다

공동육아는 구성원 모두가 주체이므로 구성원 누구도 배제되지 않고, 모두가 참여하는 회의를 지향한다

그럼 모두가 자기의 목소리로 말하고, 그 목소리를 모두 반영하고, 참여한 이들이 함께 책임지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회의는 어떻게 운영할 수 있을까? 수월하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앞으로 공동육아 구성원들이 안에서 활발하게 논의가 일어나고, 더 좋은 방향으로 공동행동이 일어나길 기대한다

공동육아 안에서 익어가면 점차 사회를 향해서 자신있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이슈보고서 1 <인류세 시대, 공생을 위한 공동육아 생태전환운동 엮어가기>

 1. 기후위기 시대 공동육아 생태교육의 방향

1) 공동육아 생태교육의 시작

2) 함께 키우는 공동육아협동조합

3) 기후위기 시대 공동육아의 과제

4) 생명살림 생태교육

5) 지속가능한 삶을 엮어가기

 

2. 기후위기 시대, 생태적 페러다임 전환과 공동육아 생태교육의 지속 가능성 탐색

1) 공동육아 생태교육, 왜 다시 생각해야 하나?

2) 기후위기 시대, 무엇을 다르게 생각할 것인가?

3) 공동육아 생태교육, 지속 가능한가?

 

3. “생명을 살리는 생태 나들이로의 제안(생생나들이)

1) 우리는 왜 나들이를 다시 보는가?

2) 공동육아 생태나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변화과정 돌아보기

3) 공동육아 나들이의 특성은 무엇일까?

4) 생명을 살리는 생태 나들이(생생 나들이)를 제안하다.

5) 우리는 앞으로 무엇을 할까?

 

4. “생명텃밭으로의 초대

1) 초대의 배경

2) 그동안 해 온 텃밭가꾸기의 의미와 성과

3) 텃밭가꾸기 해오면서 어렵게 느낀 것들

4) 기후위기 시대, 텃밭 가꾸기의 중요성 인식

5) 기후위기 및 텃밭 가꾸기 성찰을 통한 생명텃밭으로의 초대

 

5. 그저 먹고 씻고 놀면서 기후행동합시다

1) 일상의 전환, 어떻게 할까?

2) 공동육아 생태적 생활문화는 어떤 사회적 맥락에서 시작되었나?

3) 공동육아에서 기후행동은 어떻게 확산되고 있나?

4) “편하고 풍요롭게 기후행동하자

 

<참고> 기후위기시대의 생태교육연구팀이 제안하는 기후행동 실천목록

6. 공동육아 생태교육과 기후행동 어떻게 전환할까?

1) 공동육아가 걸어온 길

2) 기후위기, 공동육아의 생태교육 방향 제안

3) 그래서 누가 무엇을 할 것인가?

4) 공동육아의 기운 나는 연대활동 사회 알리기

5) (), 작은 힘이 모여 큰 것을 움직이다 ; 공동육아 기후행동 조직화의 방향

 

7. 좀 더 알아 보려면(참고문헌)

 

사회적 이슈보고서 2 <모두가 말하고, 모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함께 책임지는(모모함) 회의문화 만들기>

.1. 들어가며

1) ‘모모함은 왜 필요한가?

2) ‘모모함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2. ‘모모함의 특징

1) 참여적 회의문화

2) 참여적 회의문화를 만드는 구성요소

3) 변화를 위한 실천

 

3. 2024모모함만족도 및 효과성 평가

1) 진행과정

2) 만족도 및 효과성 평가 결과

 

4. 사회적 실천 제안

1) 회의의 궁극적 목적에 대해 성찰하기

2) 회의구조 변화를 위한 실천

3) 합의와 결정에 이르는 방법 변화를 위한 실천

4) 구성원들의 자세 변화를 위한 실천

5) 회의문화 교육과 연습이 필요

 

5. 나가며

 

참고문헌

부록 1. <모모함 회의문화 만들기> 만족도 설문지

부록 2. 심층 면담 및 FGI 질문지

 

 

1. <인류세 시대, 공생을 위한 공동육아 생태전환운동 엮어가기>

 https://www.gongdong.or.kr/bbs/board.php?bo_table=B411&wr_id=227

 

2. <모두가 말하고, 모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함께 책임지는(모모함) 회의문화 만들기>

https://www.gongdong.or.kr/bbs/board.php?bo_table=B411&wr_id=2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91건 2 페이지
게시물 검색